
직분자 훈련 <준비중>입니다.

일시 : 매년 봄과 가을에 5주간 진행

• 주일예배 중보기도 : 매 주일 1-2부 예배시 / 3층 중보기도실
• 릴레이 중보기도 : 매일 3층 개인중보기도실(중보기도학교 수료자들 중심)
• 구역 중보기도 : 매주 금요일 구역예배
- 담임목사님, 교회 기도모임 : 매달 셋째주 주일 오후 03:00~4:00 / 1층 찬양대실
- 환우 기도모임 : 매달 셋째주 주일 오후 03:00~4:00 / 1층 찬양대실 / 매일 가정에서
- 선교사, 전도대상자 기도모임 : 매주 금요일 오후 09:00~10:30 / 지하 소예배실


센더(선교사를 보내고 섬기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센더로 정의한다)로서 선교적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훈련 프로그램으로써, 선교 중심적 마음과 삶의 태도를 가지도록 돕는다. 즉, 모든 사역의 우선순위를 선교(기도, 재정, 종족 입양, 리서치, 동원, 지지 등)에 두고 센더로서의 부르심과 전문성을 재조명해 봄으로써 정체성과 그에 합당한 역할을 찾아주는 데 본 스쿨의 취지가 있다. 또한, 한국 교회가 보내는 자의 역할을 건강하게 담당함으로써 파송한 선교사를 통해 주님의 나라를 확장해 가는 선교를 건강히 이루어가도록 컨설팅하고 교회 안에 이와 관련된 팀을 구성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선교의 패러다임이 급변하고 있는 이 시대에 지금까지는 나가는 선교사에 대한 훈련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비록 보내는 선교사에 대한 개념이 성경에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센더'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성경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타 문화권으로 파송한 선교사를 기도, 선교 동원 그리고 재정 후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후방에서 지원하고 있는 센더에 대한 체계화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정체성 확립, 역할 정립을 돕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센더에게 파송 선교사를 지원하는 기도 공동체와 같은 케어 그룹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훈련을 통해 센더로서 가져야 할 부르심의 확신을 심어주고, 함께 동역하고 교제할 공동체를 마련해 주어 지속적으로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선교사를 후원하고 있는 동역자, 중보 기도자, 교회 선교부, 센더의 삶에 관심이 있는 사람, 선교에 부르심이 있는 사람

• 대상이 되는 교회의 선교 담당자와 사전 미팅을 통해 교회의 상황과 필요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조정
• 이론적이기보다 실제적인 계획과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함
• 교회와 참가자 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부르심과 은사를 확인하고 향후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 센더라는 분명한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함
맞춤 프로그램
실천적 프로그램
주도적, 자발적 프로그램
선교 부르심과 정체성 확립

1강. 선교적 삶으로의 부르심과 센더의 성경적 근거
• 센더스쿨의 배경, 취지 및 목적을 설명하고, 센더로서의 어려움을 나누고 격려
• 성경적 관점에서 센더의 근거, 중요성, 정체성, 그 의미 내에서의 가치관, 근원적인 부르심과 역할로서의 부르심 개념을 갖게 함
예) 성경에서 센더의 모델을 구체적으로 찾아보기
[과제] 나는 선교에 대하여 본질적인 부르심과 역할에 대한 부르심의 확신이 있는가?
2강. 역사 속의 센더와 세계 선교 현황
• 선교 역사 가운데 숨겨져 있던 센더들의 중요성과 그 의미를 재조명한다. 한국 교회의 잃어버린 센더의 위치와 중요성을 찾아봄
• 선교의 남은 과제를 파악하고 남은 미전도 종족을 연구하고 입양하며 복음화를 위해 구체적으로 선교 계획을 세워가도록 함
[과제] 우리 교회 안에서 센더로서 감당해 왔던 예와 그 의미를 찾아보기
3강. 센더가 치르게 되는 영적 전쟁
• 선교사가 선교지에서 치르게 되는 영적 전쟁과 그 지역의 종교에 따른 견고한 진에 대해 알아봄
• 본국에서 살면서 센더로서 삶의 현장에서 직면하는 영적 전쟁에 대하여 이해
[과제] 우리가 동역하는 선교지의 영적 전쟁의 견고한 장벽과 나의 부르심을 막고 있는 영적 전쟁의 대상을 파악하고 극복하기
4강. 센더로서 선교사 이해와 섬김
• 센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때 함께 동역하는 보냄 받은 자의 삶을 이해하고 그 단계에 맞는 케어가 중요함을 인식
[과제] 우리 교회 또는 내가 동역하는 파송 선교사의 선교지 연차와 그에 따라 겪게 되는 어려움이 다름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케어 방법 찾아보기
5강. 센더의 자세와 역할
• 센더로서 그 역할을 감당할 뿐만 아니라 선교 중심적인 마음과 삶의 태도를 가지고 선교를 삶의 우선순위에 두고 살아가는 것임을 인식
• 센더로서 기본적인 역할은 중보기도, 재정, 지지, 의사소통. 교제, 사역 개발, 직업 등이 있음
• 자신의 은사를 찾아보고 실질적인 역할을 찾게 하며 선교부 내에 팀을 이루어 어떻게 선교사를 보낼 것인지 계획을 세워보게 함
[과제] 센더로서 기준이 될 믿음, 거룩, 희생, 교제를 내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센더로서 자신의 은사와 역할, 선교부 또는 팀과의 구체적인 역할 분담, 마스터 플랜 수립에 대해 나눔

성경통독학교 <준비중>입니다.